🔻 독감 예방접종 가격 조회 🔻

최근 독감 유행주의보가 예년보다 일찍 발령되는 등 독감(인플루엔자) 유행이 우려되면서 예방접종을 서두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병원에 따라 예방접종 가격이 1만 9천 원에서 5만 원까지 천차만별이라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독감 예방접종 가격이 다른 이유와 우리 동네 병원의 백신 가격을 미리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가격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이나 ‘건강e음’ 모바일 앱을 통해 비교할 수 있습니다. 방문 전 미리 비교해 보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독감 예방접종을 하시기 바랍니다.
독감 예방접종 가격 조회
가급적 저렴한 곳에서 접종하는 것이 좋겠죠? 다행히 병원에 일일이 전화하지 않아도 온라인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병원별 독감 백신 가격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조회하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누리집에서 전국의 병·의원별 비급여 진료비 정보를 제공합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메인 화면에서 ‘비급여 진료비 정보’ 메뉴를 찾아 클릭합니다.
- ‘지역’이나 ‘병원명’으로 검색 조건을 설정합니다.
- ‘비급여 진료 항목’ 검색창에 ‘독감’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 선택한 지역의 병원별 독감 백신(3가, 4가) 가격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 ‘건강e음’ 앱에서 조회
심평원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서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 ‘건강e음’ 앱을 설치하고 실행합니다.
- 앱 하단의 ‘비급여 정보’ 메뉴에서 ‘비급여 진료비 정보’를 선택합니다.
- 홈페이지와 마찬가지로 ‘지역’을 설정하고 ‘상세 분야’에서 ‘인플루엔자’를 검색하거나, 항목 검색에서 ‘독감’을 입력합니다.
- 주변 병의원의 독감 백신 가격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가격이 천차만별인 이유
독감 예방접종 가격이 병원마다 다른 가장 큰 이유는 국가필수예방접종(NIP) 무료 지원 대상이 아닌 일반 성인의 경우, 독감 백신 접종이 ‘비급여 항목’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비급여 항목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의료기관이 자율적으로 가격을 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신 자체의 공급 가격(국내산, 해외산 등)과 병원의 이익, 의사 행위료 등이 더해져 최종 가격이 책정되므로 병원마다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해외 백신이 환율이나 유통 문제로 국내 백신보다 비쌀 수 있지만, 백신의 가격 차이가 효능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조언합니다.
3가 백신? 4가 백신?
독감 백신은 예방하는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3가와 4가로 나뉩니다. 작년까지는 4가 백신 접종이 많았지만, 올해(2025년)는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B형 바이러스 중 하나인 ‘야마가타’ 바이러스가 최근 몇 년간 사라진 것으로 보고, 3가 백신 접종을 권고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올해 국가필수예방접종 사업 역시 3가 백신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항원이 하나 줄었다고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며, 현재 유행하는 바이러스 예방 효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치며
독감 예방접종 가격은 비급여 항목이라 병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다고 효능이 더 좋은 것은 아닙니다.
방문 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이나 ‘건강e음’ 모바일 앱을 통해 우리 동네 병원들의 가격을 미리 비교해 보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독감 예방접종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