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형 협심증(Angina Pectoris)이 뭔가요? – 전조증상, 통증위치, 원인, 치료방법

안정형 협심증의 전조증상은 가슴이 조이는 듯한, 짓누르는 듯한, 쥐어짜는 듯한, 뻐근한 듯한 통증입니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급성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협심증의 증상, 원인, 치료 등에 대해서 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협심증이 뭔가요?

안정형 협심증(angina pectoris)이란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에 의한 심근 허혈 때문에 생기는 증상을 말합니다. 심장을 둘러쌓고 있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이 있습니다.

이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으로 인해 죽상경화반(artherosclerotic plaque)이 생겨 혈관 내벽이 좁아지면 혈류의 흐름이 느려지게 됩니다. 

혈류량이 감소한 심장근육은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고 심근 허혈이 생겨 환자는 가슴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심혈관질환에서 협심증이란 관상동맥이 죽상경화로 인해 좁아지고 혈류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질환이라는 것을 표현한 그림


협심증 전조증상

협심증은 ‘목을 조르다’라는 라틴어 ‘angere’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안정형 협심증의 주 증상은 심근 허혈에 의한 흉통입니다.

운동 등과 같이 활동 시 가슴이 콕콕 찌르는 듯한, 조이는 듯이, 짓누르는 듯한, 쥐어짜는 듯한, 뻐근한 듯한 통증으로 표현됩니다. 하지만 환자에 따라 표현이 다를 수 있고 비전형적일 수도 있습니다.

가슴통증과 함께 호흡곤란이 동반될 수  있으며 통증 없이 두근거림, 실신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가슴이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
  • 가슴이 조이는 듯한 통증
  • 가슴이 짓누르는 듯한 통증
  • 가슴이 쥐어짜는 듯한 통증
  • 가슴이 뻐근한 통증


통증 위치, 지속 시간

가슴 통증의 위치는 흉골 하부에서 약간 왼쪽이며 방사통(radiating pain)으로 목, 턱, 왼쪽 어깨 등으로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통증은 짧게는 1~2분, 길게는 15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0분 이상 흉통이 지속되는 경우는 적습니다. 안정형 협심증의 증상은 안정시에 완화되거나 NTG(Nitroglycerin)를 설하에 투여  후 증상이 완화됩니다.

운동을 멈추거나 NTG반응이 느리게 나타난다면 관상동맥 미세혈관 질환(coronart microvascular disease)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원인, 위험인자

안정형 협심증(Angina pectoris)은 관상동맥 내 죽상경화반(artherosclerotic plaque)에 의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에 의해 발생합니다.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은 혈관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endothelium)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며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나 죽종(atheroma)이 형성됩니다. 

죽상경화반이 만들어지는 주된 원인은 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가족력,  비만, 나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없애거나 수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 당뇨
  • 고혈압
  • 고지혈증
  • 스트레스
  • 흡연
  • 가족력
  • 비만
  • 나이

진단 및 검사

의사가 환자의 통증양상, 통증시간, 통증유발요소, 기왕력 등의 병력을 청취하고 이에 맞춰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합니다.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ECG)

심전도란 심장의 수축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그래프로 기록한 것을 말합니다. 심전도검사는 협심증 환자의 기본검사입니다. 흉통 발생 시 ST분절, 및 T파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운동부하검사(Treadmill test)

심전도 검사는 안정 시 흉통이 없는 경우가 많아 심전도에서는 정상소견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활동하는 상황을 만들어 심전도, 심박수, 혈압, 신진대사 해당치 등을 검사하는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운동부하검사는 심근경색, 심부전,  불안정한 부정맥 등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는 검사 중 위험할 수 있어 금기입니다.

심장초음파(Echocardiography)

심장초음파를 통하여 심장벽의 wall motion을 확인할 수 있고 심장의 구조에 대해서도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정형 협심증 환자는 wall motion  장애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장 CT(Cardiac CT)

심장 CT는 안정형 협심증을 진단하는데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검사입니다. 심장혈관을 비침습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관상동맥의 석회화 정도, 좁아진 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상동맥 중재적 시술의 참고자료로도 사용됩니다. 관상동맥의 비정상적으로 기시한 입구를 찾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만성 폐쇄성 병변(chronic total occlusion, CTO)에서 혈관의 주행 경로를 예측하여 관상동맥 중재적 시술을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치료방법

안정형 협심증을 치료하는 방법에는 약물치료, 관상동맥 중재적 시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이 있습니다. 

환자의 증상, 병변의 정도, 병변의 위치, 나이, 기저질환 등을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관상동맥 중재적 시술은 순환기내과 전문의가 시술을 하며 관상동맥 우회술은 흉부외과에서 수술합니다. 

관상동맥조영술 이미지에서 스텐트 사입술 전 후 모습을 비교한 사진



함께보면 좋은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